[뉴스포커스] 확진자 또 역대 최다…"거리두기 더 강화"<br /><br /><br />어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,850명 발생하며 휴일 검사건수 감소 효과가 사라지자 또다시 7천명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연일 방역지표가 악화되자 정부는 오늘과 내일 상황을 지켜보고 이르면 금요일께 특단의 방역조치를 발표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한편, 학부모와 학생, 학원의 반발을 사고 있는 청소년 방역패스와 관련해 교육부는 연내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7,850명으로 지난주와 비슷한 수치입니다. 11월 중순부터 매주 1천명씩 늘다가 지난주는 2천명이 늘어난 상황에서 이번 주는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입니다. 증가세는 좀 멈췄다고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사망자가 하루 100명에 육박하고 있음에도 위중증 환자는 계속 늘어 1천 명을 앞두고 있습니다. 사망자로 인해 병상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 얘긴데요. 혹시 입원이 늦어지거나 의료대응이 늦어져 위중증, 사망자가 더 늘어난 건 아닐까요?<br /><br /> 병상이 위중증 환자 규모 어느 정도까지 버텨줄 수 있을지도 궁금한데요. 코로나 병상을 늘리려면 일반 병상을 빼야 하는 건데, 지금도 일반 진료에 차질을 주고 있다고 들었습니다. 위중증 환자의 어느 정도 수준까지 현 의료체계가 버틸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지금 상황이 하루빨리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모두가 동감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. 정부는 이번 주 수, 목 방역지표 상황을 지켜보고 금요일쯤 특단의 조치를 발표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오늘 지난주와 비슷한 확진자가 발생했는데요. 그래도 특단의 조치가 내려져야 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거리두기 강화를 한다는 것은 다시 일상회복 이전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인데요. 예전만큼의 방역 강화를 시행한다고 해도 지금의 확산세가 줄어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방역대책으로 3차 접종을 성인 전체로 확대하고 접종 간격도 석 달로 앞당겨 이번 주 월요일부터 사전 예약을 받고 있는데요. 추가 접종을 하려는 일반 성인들은 꽤 많은 것 같더라고요. 60세 이상 어르신들의 접종이 더 중요한데, 3차 접종률은 현재 어느 정도 되나요?<br /><br /> 청소년들의 1, 2차 접종률도 지난달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었다고 하는데요. 12~17세 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1차 접종을 마쳤고, 2차 접종은 아직 40%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. 학교 단위로 시행하는 '찾아가는 백신 접종'이 원래 오늘부터인데,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할 전망이라고 하는데요. 학교에서의 접종이 시작되면 지금보다 청소년 접종률이 좀 더 올라갈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시기와 범위와 관련해 교육부가 연내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현재 가장 큰 논란이 학원에서의 방역패스 적용입니다. 교수님이 보실 때, 학원의 방역패스가 꼭 필요하다고 보시는지요? 또 방역패스를 적용했을 때, 확실히 청소년 미접종자에 대한 보호 정책으로서 청소년 확진자가 얼마나 감소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학부모님들이 고민하는 건 부작용일 겁니다. 항상 말씀드리고 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백신 접종에 있어 실보다 득이 많다면 백신을 무조건 맞는 게 좋다고 하시는데요. 교수님이 보실 때, 청소년들은 백신을 맞는 것이 더 이득이라고 보십니까? 부작용을 걱정하는 학부모님들을 위해 정부는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